04월 09일(수)

물 끓여도 못 죽인다?…배달음식서 검출된 ‘세레우스균’ 식중독 주의보

복통
(사진출처-freepik)

배달 음식의 인기가 높아지는 가운데, 끓여도 사라지지 않는 식중독균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Clostridium perfringens)’로 인한 식중독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이 세균은 높은 온도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어, 가열한 음식이라도 안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의료계에 따르면 퍼프린젠스균은 고기류나 육가공 식재료에 주로 서식하며, 조리 후 적절한 온도로 보관하지 않으면 급속히 증식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봄철인 3월부터 5월까지는 일교차가 커 실온 보관에 대한 경각심이 떨어지기 쉬운 만큼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

퍼프린젠스균에 감염되면 평균 6~24시간 내 복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하루 내에 회복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고령자, 기저질환자는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최근에는 배달 음식을 통해 감염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최근 3년간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 환자 수는 크게 증가하고 있다.

2022년 264명, 2023년 106명에서 지난해에는 무려 452명으로 치솟았다.

이는 배달·포장 음식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가정이나 외부에서 조리된 음식을 장시간 실온에 보관하거나 적절히 재가열하지 않고 섭취하는 경우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퍼프린젠스균은 100도 이상의 고온에서도 포자 상태로 살아남는 강력한 내열성을 가진다.

조리 시 높은 온도로 가열하더라도 포자는 사멸되지 않으며, 음식이 식고 적정 온도에서 방치되면 다시 활발히 증식하게 된다.

때문에 일반적인 ‘익힌 음식은 안전하다’는 인식은 퍼프린젠스균 앞에서는 무용지물이다.

전문가들은 퍼프린젠스균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음식 보관 및 재가열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한다.

홍진헌 세란병원 내과 과장은 “봄철에는 아침저녁으로 쌀쌀해 실온 보관이 가능하다고 착각하기 쉽지만, 낮에는 기온이 상승해 균 증식에 최적의 조건이 된다”고 전했다.

또한 “조리한 음식은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하며, 섭취 전에는 반드시 75도 이상으로 재가열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이어 “감염 시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탈수 증상이 심할 경우에는 수액 등 보충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하며 “복통이나 설사가 지속되거나 발열이 동반될 경우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배달 음식의 특성상 조리부터 배달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수령 즉시 섭취하지 못할 경우에는 반드시 냉장 보관하고, 재가열 후 먹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또, 다회용기 사용 등으로 인해 음식이 장시간 보온백에 담겨 있는 경우에도 내부 온도가 미생물 증식에 적절한 환경이 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봄철을 기점으로 국민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식중독 예방 수칙을 지키고, 음식 보관과 섭취에 있어 경각심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배달·포장 음식이 일상이 된 만큼, 개인 위생과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 전환이 무엇보다 절실하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