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월 21일(월)

서울 전역에 잔여 시간 표시 신호등 도입… 보행 편의·안전 강화

신호등
(사진출처-freepik)

서울시가 보행자의 신호 대기 불편을 줄이고 무단횡단을 예방하기 위해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을 확대 설치한다.

2030년까지 서울 내 4000곳의 횡단보도에 해당 신호등이 도입될 예정이며, 올해만 650개소에 추가로 설치될 계획이다.

서울시는 5일 이러한 내용의 보행 환경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은 기존의 녹색 보행신호뿐만 아니라 적색 신호의 남은 시간을 표시해 보행자가 신호 변경 시점을 미리 알 수 있도록 돕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보행자의 대기 중 답답함을 덜어주고, 신호 준수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유동 인구가 많은 명동과 강남 등 350개소에 해당 신호등을 시범 설치했으며, 올해는 이를 650개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설치 장소는 각 자치구의 요청을 받아 서울경찰청과 협의를 거쳐 선정된다.

6차로 이상의 넓은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설치되며, 6차로와 연계된 4차로 이상의 무단횡단 사고 다발 지역도 포함된다.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은 보행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서울시는 보행량이 많은 300여 개소에서 해당 신호등을 설치한 후 대면 조사를 실시했다.

500명의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98.4%가 ‘만족한다’고 답했으며, 98.2%가 확대 설치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는 기존 신호 체계보다 보행자 편의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고령층에서 신호등 설치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다.

‘보행자 안전’과 관련된 ▲무단횡단 감소 ▲신호등 집중도 향상 ▲신호 준수 증가 항목에서 ‘60대 이상’ 응답자의 97%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들은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이 교통 약자의 보행 안전에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다.

이는 노인과 장애인 등 보행 속도가 느린 시민들이 신호 변경 시점을 사전에 인지하고 안전하게 길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를 가진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시는 신호 체계 개선을 통해 보행자 사고를 줄이고 교통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기존 보행 신호는 초록불이 켜질 때만 남은 시간을 표시했지만, 적색 신호에도 잔여 시간을 표기함으로써 보행자가 언제 신호가 바뀌는지 예측할 수 있게 했다.

다만, 신호 변경 전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적색 신호 종료 6초 전부터는 남은 시간이 표기되지 않는다.

이번 신호등 확대는 보행자의 신호 대기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행 신호를 준수하는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향후 2030년까지 서울 전역 4000개소에 신호등을 추가 설치할 계획이며, 자치구 및 경찰청과 협력해 최적의 설치 장소를 지속적으로 선정해 나갈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적색 잔여시간 표시 신호등은 보행자의 안전과 편의를 높이는 대표적인 생활밀착형 정책”라고 말했다.

이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교통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아이디어를 반영한 교통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향후 보행 안전을 위한 추가적인 신호 체계 개선과 무단횡단 방지 대책을 강화할 방침이다.

보행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기술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며, 이에 따라 향후 교통 환경이 보다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기사보기

이소율 (lsy@sabanamedia.com) 기사제보

답글 남기기